Python 코딩도장

1~10장

Posted by 동식이 블로그 on January 6, 2019

코딩도장 python 1~10장

1장. 소프트웨어 교육과 파이썬

알고리즘

  • 문제에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하고, 패턴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
  • 이를 코드로 표현하는 행동을 코딩이라고 한다!!
  • 즉, 알고리즘을 컴퓨터의 명령으로 작성하는 것을 프로그래밍이라고 하며 코딩과 같은 개념이다

2장. 파이썬 설치하기

파이썬 설치

1
brew를 이용해서 python / pyenv로 설치

3장. Hello, world!로 시작하기

1
print("Hello, world!")

4장. 기본 문법 알아보기

주석

1
2
# 주석은 이렇게!
print("Hello, world!") #이렇게 문장 뒤에 넣으면 요부분만 주석처리!

파이썬에서 한글 주석 사용하기

  • 파이썬3에서는 .py스크립트 파일의 기본 인코딩이 UTF-8이다. 스크립트 파일을 다른 인코딩(EUC-KR등)으로 저장하면 실행 했을 때 에러가 발생한다.
  • 이때는 스크립트 파일을 UTF-8로 저장하면 된다.
  • 텍스트 편집기로 파일->다른이름으로저장->인코딩->에서 UTF-8선택 후 저장

들여쓰기

  • 파이썬에서는 들여쓰기 자체가 문법이다!!!!
  • 들여쓰기 방법은 4칸(tap)으로 규정 - PEP 8
1
2
if a == 10:
    print("10입니다") #요기 앞에 4칸이 들여쓰기 되어있음

5장. 숫자 계산하기

정수계산(integer)

사칙연산 + , -, /, *
// 연산자 나눗셈 후 소수점 이하를 버림 (몫)
% 연산자 나머지를 구함
** 연산자 제곱

int형변환

int(sth) sth : 숫자, 계산식, 문자열

자료형 알아내기

type()

몫과 나머지를 한번에 구하기

divmod() : 몫과 나머지를 튜플형태로 리턴

1
2
divmod(5,2)
>>> (2,1) # 튜플의 형태로 값을 리턴해줌

진수 표현

진수 표현
2진수 0b 0b110
8진수 0o 0o10
16진수 0x 0xF8

실수계산(float)

1
2
4.3 - 2.7
>>> 1.59999999999996
  • 4.3 - 2.7 의 결과가 1.6이 아닌 이유는 컴퓨터는 실수를 표현할 때 오차가 발생
  • 실수와 정수를 같이 계산하면 표현 범위가 큰 실수로 계산

float형변환

float(sth) sth : 숫자, 계산식, 문자열

복소수(complex)

  •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뉘며 허수부에는 j를 붙여서 표현

연산자 우선순위

우선순위 연산자 설명
1 (값…), [값…], {키: 값…}, {값…} 튜플, 리스트, 딕셔너리, 세트 생성
2 x[인덱스], x[인덱스:인덱스], x(인수…), x.속성 리스트(튜플) 첨자, 슬라이싱, 함수 호출, 속성 참조
3 await x await 표현식
4 ** 거듭제곱
5 +x, -x, ~x 단항 덧셈(양의 부호), 단항 뺄셈(음의 부호), 비트 NOT
6 *, @, /, //, % 곱셈, 행렬 곱셈, 나눗셈, 버림 나눗셈, 나머지
7 +, - 덧셈, 뺄셈
8 «, » 비트 시프트
9 & 비트 AND
10 ^ 비트 XOR
11 | 비트 OR
12 in, not in, is, is not, <, <=, >, >=, !=, == 포함 연산자, 객체 비교 연산자, 비교 연산자
13 not x 논리 NOT
14 and 논리 AND
15 or 논리 OR
16 if else 조건부 표현식
17 lambda 람다 표현식

연습문제

  • 아파트에서 소음이 가장 심한 층수 출력하기

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아파트에서 소음이 가장 심한 층수를 구하는 계산식을 발표했습니다. 소음이 가장 심한 층은 0.2467 * 도로와의 거리(m) + 4.159입니다. 다음 소스 코드를 완성하여 소음이 가장 심한 층수가 출력되게 만드세요. 단, 층수를 출력할 때는 소수점 이하 자리는 버립니다(정수로 출력).

도로와의 거리 : 12m

1
2
print(int(0.2467*12+4.159))
>>> 7

6장. 변수와 입력 사용하기

변수 여러개를 한번에 만들기

1
2
3
4
x, y, z = 10, 20, 30
# x = 10
# y = 20 
# z = 30 이 한번에 할당됨

변수 삭제

  • 리스트 사용할 때 유용하게 쓰임
1
del x

빈 변수 만들기

1
2
x = None
# None은 python에서의 Null과 같다

연산 후 할당

  • 변수 값을 초기화 한 다음에 할당해야 함

input() 함수

  • 입력한 문자열이 그대로 출력됨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x = input()
# 변수 x에 입력한 문자열이 저장됨

x = input("문자열을 입력하세요: ")
# 사용자가 입력한 안내문구가 입력받는 값의 용도를 알려줌

x = int(input("숫자를 입력하세요 :"))
# 입력받은 값을 int로 형변환할 수 있다

a, b = input("문자열 두개를 입력하세요 :").split()
# 입력 값을 변수 두 개에 저장, split()함수는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해주는 역할

a, b = input("두 수를 입력하세요 :").split()
# 이 상태로 print(a+b)를 하게되면 1020 처럼 string이 연결된 상태로 출력
a = int(a)
b = int(b)
# 이렇게 int로 형변환하고 print(a+b)로 해야 더한 값이 출력

a, b = map(int, input("두 수를 입력하세요:").split())
# map을 이용해서 일일이 형변환 해주지 않아도 됨

7장. 출력방법 알아보기

print()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print(1, 2, 3)
# 변수 여러 개를 ,로 구분해서 넣을 수 있다
>>> 1 2 3 

print(1, 2, 3, sep=', ')
# sep는 구분자로서 ', '처럼 ,와 공백을 지정해줘 출력함
>>> 1, 2, 3

print("hello","python",sep="")
# sep에 빈 문자열을 지정하면 연결효과
>>>hellopython

print(1920, 1080, sep="x")
# sep에 x를 지정
>>> 1920x1080

print(1, 2, 3, sep="\n")
# sep에 줄바꿈 지정
# print("1\n2\n3")과 같음

print(1, end="")
print(2, end="")
print(3)
# end에 빈 문자열을 지정하면 다음 번 출력이 바로 뒤에 오게 됨
# 즉 end는 그 다음에 오는 print함수에 영향을 준다
>>>123

산술 연산자

연산자 기능 문법 설명
+ 덧셈 a + b 두 값을 더함
- 뺄셈 a - b a에서 b를 뺌
* 곱셈 a * b 두 값을 곱함
/ 나눗셈 a / b a에서 b를 나누며 결과는 실수
// 버림 나눗셈(floor division) a // b a에서 b를 나누며 소수점 이하는 버림
% 나머지 a % b a에서 b를 나누었을 때 나머지를 구함
** 거듭제곱 a ** b a를 b번 곱함
@ 행렬 곱셈 a @ b 행렬 a와 b를 곱함
+ 양수 부호 +a a에 양수 부호를 붙임
- 음수 부호 -a a에 음수 부호를 붙임
+= 덧셈 후 할당 a += b a와 b를 더한 후 결과를 a에 할당
-= 뺄셈 후 할당 a -= b a에서 b를 뺀 후 결과를 a에 할당
*= 곱셈 후 할당 a *= b a와 b를 곱한 후 결과를 a에 할당
/= 나눗셈 후 할당 a /= b a에서 b를 나눈 후 결과를 a에 할당(결과는 실수)
//= 버림 나눗셈 후 할당 a //= b a에서 b를 나눈 후 결과를 a에 할당(소수점 이하는 버림)
%= 나머지 연산 후 할당 a %= b a에서 b를 나누었을 때 나머지를 구하여 a에 할당
**= 거듭제곱 후 할당 a **= b a를 b번 곱한 후 결과를 a에 할당
@= 행렬 곱셈 후 할당 a @= b 행렬 a와 b를 곱한 후 결과를 a에 할당

8장. 불과 비교, 논리 연산자 알아보기

불(boolean)

  • 참 거짓을 나타냄 True , False

같은지 다른지 비교하기

  • 같다 : ==
  • 다르다 : !=
  • ==!=는 값 자체를 비교
  • is , is not은 객체를 비교
1
2
3
4
5
6
7
8
1 == 1.0
>>> True
# True인 이유는 값이 같기 때문에
1 is 1.0
>>> False
# False인 이유는 1은 integer객체, 1.0은 float객체이기 때문에 

## 따라서 값을 비교할 때에는 is를 쓰면 안된다!!!

논리연산자

연산자 설명
and 두 값이 모두 True이여야 True, 하나라도 False 이면 False
or 두 값중 하나라도 True이면 True, 두 값이 모두 Fasle여야 False
not 논리값을 뒤집음. not True 는 False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True and True
>>> True
True and False
>>> False
False and False
>>> False

True or False
>>> True
False or False
>>> False

not True and False or not False
>>> True
# 먼저 not True와 not False를 판단해 False and False or True가됨
# 그 후 False and False를 판단해 False가 나옴
# False와 나머지 or True를 판단해 최종결과가 True가 나옴

정수, 실수, 문자열을 불(boolean)로 만들기

1
2
3
4
5
6
7
8
9
10
11
bool(1)
>>> True
bool(0)
>>> False
# 정수 0, 실수 0.0이외의 모든 숫자는 True

bool("False")
>>> True
bool("")
>>> False
# 빈 문자연 '', ""이외의 모든 문자열은 True

단락평가

  • 첫 번째 값만으로 결과가 확실할 때 두 번째 값은 확인(평가)하지 않는 방법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And 연산자
print(False and True)
# 첫 번째 값이 False 이므로 두 번째 값은 확인하지않고 False로 결정
>>> False

Or 연산자
print(True or False)
# 첫 번째 값이 True 이므로 두 번째 값은 확인하지 않고 True로 결정
>>> True

True and "Python"
>>> Python
# "Python"도 bool로 따지면 True이기 때문에 True가 나올것 같지만 
# 실제 출력결과는 Python인 이유는?
# Python에서 논리연산자는 마지막으로 단락평가를 실시한 값을 그대로 반환하기 때문이다.

"Python" and True
>>> True

False or "Python"
>>> Python
# 두번째 값까지 판단해야 한다면 두번째 값이 반환된다는 소리!!!

9장. 문자열 사용하기

문자열 사용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'안녕하세요'
"안녕하세요"

'''hello
python'''
>>>'hello
python'
"""hello
python"""
>>>"hello
python"


10장. 리스트와 튜플사용하기

리스트

  • 리스트 = [값, 값, 값]
1
2
3
4
5
6
7
8
9
a = [38, 21, 53, 62, 19]
# 변수 a에 [ ] 로 값을 저장하여 리스트 만들기

person = ["james", 17, 175.3, True]
# 리스트는 문자열, 정수, 실수, 불 등 모든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다

b = []
c = list()
# 빈 리스트를 만들 때에는 [ ]만 지정하거나 list를 사용하면 된다

range()를 사용하여 리스트 만들기

1
2
3
4
5
a = list(range(10))
# 변수 a에는 [0,1,2,3,4,5,6,7,8,9]가 저장됨

b = list(range(10,0,-1))
# 변수 b에는 [10,9,8,7,6,5,4,3,2,1]이 저장됨

튜플

  • 리스트처럼 요소를 일렬로 저장하지만, 안에 저장된 요소를 변경, 추가, 삭제할 수 없다
  •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 ( )로 묶어주면 튜플이 되며 각 값은 ,(콤마)로 구분해준다
1
2
3
4
5
6
7
8
9
10
11
12
a = (1,2,3,4,5)
# 변수 a에 ( )로 값을 저장하여 튜플 만들기
a = 1, 2, 3, 4, 5
# ( ) 괄호를 사용하지 않아도 튜플을 만들 수 있음

b = ("james", 17, 175.3, True)
# 튜플도 리스트처럼 여러 자료형을 섞어서 저장해도 됨

(38)
# 값 한개를 괄호로 묶으면 튜플이 아니라 그냥 값이 됨
(38, )
# 이렇게 값 한개를 넣고 ,(콤마)를 붙여야 요소가 한개 들어있는 튜플이 만들어짐

range()를 사용하여 튜플만들기

1
2
3
4
5
a = tuple(range(10))
# 변수 a에 (0,1,2,3,4,5,6,7,8,9)가 저장됨

b = tuple(range(-4,10,2))
# 변수 b에 (-4, -2, 0, 2, 4, 6, 8)

리스트와 튜플의 사용시기

  • 리스트는 요소를 자주 변경해야 할 때 사용
  • 튜플은 요소가 절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어야 할 때 사용

리스트를 튜플로, 튜플을 리스트로

1
2
3
4
5
6
7
8
9
a = [1, 2, 3]
tuple(a)
>>> (1, 2, 3)
# 리스트a를 튜플로 형변환

b = (4, 5, 6)
list(b)
>>> [4, 5, 6]
# 튜플b를 리스트로 형변환

언패킹(unpacking)

  • 리스트와 튜플의 요소를 변수 여러 개에 할당하는 것
  • 패킹은 변수에 리스트, 튜플을 할당하는 과정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x = [1, 2, 3]
a, b, c = x
print(a, b, c)
>>> 1, 2, 3
# 리스트 언패킹

y = (4, 5, 6)
d, e, f = y
print(d, e, f)
>>> 4, 5, 6
# 튜플 언패킹

a = [1, 2, 3]
# 리스트 패킹
b = (1, 2, 3)
# 튜플 패킹